본문 바로가기
728x90

범주형2

[Tree Based Model]Random Forests(랜덤 포레스트) 랜덤포레스트(Random Forests)랜덤포레스트 모델을 이해하고 문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.순서형인코딩(Ordinal encoding) 과 원핫인코딩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.범주형 변수의 인코딩 방법이 트리모델과 선형회귀 모델에 주는 영향 이해합니다. Warm up오늘 배우는 랜덤포레스트 모델에 대해서 다음 영상을 시청하고 질문에 답해보세요:StatQuest: Random Forests Part 1 - Building, Using and Evaluating랜텀포레스트가 결정트리와 어떻게 다를까요?결정트리는 상부에서 생긴 에러가 하부까지 내려오거나, 트리 깊이에 따라 과적합이 생기는 단점이 있는데 앙상블 모델인 랜덤포레스트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음배깅(Bagging)이 무슨 뜻입니까?Ou..
[통계학] chi-square-test(범주형 가설 검정) More 기대횟수의 의미가 뭔지 왜 기대횟수와의 차이가 연관이 있는거고, 기대횟수와 가까운 것이 연관이 없는게 되는지에 대한 학습이 더 필요할 것 같다. 블로그에 과제에서 주어졌던 지역별 미분양 주택 수에 대한 EDA(그래프)와 카이제곱 검정 결과를 포스팅하기. 원샘플 카이제곱 검정이란? More Hypothesis Testing 🏆 학습 목표 t-test를 위한 조건을 알 수 있다. 독립성, 정규성, 등분산성(분산이 비슷한지) t-test외에 다른 가설검정 방법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. Type of Error를 구분하고 설명할 수 있다. 타입1에러, 타입2에러 그거 카이제곱검정의 목적과 사용예시를 설명할 수 있다. 모수통계와 비모수통계의 차이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. 모집단이 특정 확률 분포 (no..
728x90